공유기로 어떤 기기가 어떤 사이트에 들어갔는지 아나요? 학교나 회사는 자체 인트라넷 구축 후 해당 인트라넥을 외부 인터넷에
공유기로 어떤 기기가 어떤 사이트에 들어갔는지 아나요? 학교나 회사는 자체 인트라넷 구축 후 해당 인트라넥을 외부 인터넷에
학교나 회사는 자체 인트라넷 구축 후 해당 인트라넥을 외부 인터넷에 연결했으니 어떤기기가 언제 얼마동안어떤 사이트에 들어갔는지 어떤 vpn에 연결했는지같은것들을 알수있는것은 압니다.질문1집, 호텔, 식당, 같은 곳에 설치된 공유기로어떤 기기가 언제 얼마동안어떤 사이트에 들어갔는지 어떤 vpn에 연결했는지 이런걸 알수있나요? 질문2 어떤 사람이 켜준 핫스팟을 쓰면쓴 사람이 언제 얼마동안어떤 사이트에 들어갔는지 어떤 vpn에 연결했는지 이런걸 알수있나요? 질문3어떤 사이트에서 어떤 활동을 했는지는Https?그것때문에 알수없다는데 맞나요?질문4 일반적으로 학교, 회사, 기업 공유기를 뺀모든 공유기, 핫스팟, 모바일 데이터는어떤 기기가 언제 얼마동안 그 공유기에 접속했고이런것만 알지 인터넷 활동기록, 접속기록, 검색기록Vpn 사용기록 같은 것은 기록하지 못하는게 맞나요?
집, 호텔, 식당, 같은 곳에 설치된 공유기로
어떤 사이트에 들어갔는지 어떤 vpn에 연결했는지 이런걸 알수있나요?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한다면 어떤 사이트에 들어갔는지, 어떤 vpn 서버에 접속했는지를 알수는 있습니다.
어떤 사이트에 들어갔는지 어떤 vpn에 연결했는지 이런걸 알수있나요?
그 사람이 모니터링 툴(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모니터링을 한다면 알수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에 접속했다는것은 알수 있지만 해당 사이트에 연결할때 https로 접속을 했다면 실제로 어떤 활동을 했는지는 알수가 없습니다.
어떤 기기가 언제 얼마동안 그 공유기에 접속했고
이런것만 알지 인터넷 활동기록, 접속기록, 검색기록
Vpn 사용기록 같은 것은 기록하지 못하는게 맞나요?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게 되면 알수 있는 정보가 꽤 됩니다. 그리고 특정 컴터에서 통신되고 있는 모든 패킷을 특정포트나 컴터에 모두 저장하게 한후에 추후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분석할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와이파이 접속등을 할때 vpn을 사용하는것이 조금 더 안전하다고 하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