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주택 공동명의 안녕하세요! 부모님이 3억짜리 주택을 저 결혼 1년 전에 주시면 증여세없이
안녕하세요! 부모님이 3억짜리 주택을 저 결혼 1년 전에 주시면 증여세없이 1억 5천을 주실 수 있는데 나머지 1억 5천에 대한 세금을 내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예비 신랑과 공동명의로 해주시겠다고 하는데 그렇게 되면 세금이 어떻게 되나요??
결혼공제 1억 증여공제 5000만원 하고 1.5억에 대해서는 증여세 2000만원을 부담하게 됩니다
공동명의 해도 신부는 1.5억 공제받고 혼인신고한 신랑이 1000만원 공제받아 1.4억 대한 증여세는 부담하게 됩니다
아래 참고자료를 통해(광고 포함) 도움되시면 좋겠습니다. image 혼인출산 증여재산공제 세부 적용사항
혼인출산공제는 청년들의 결혼 또는 출산에 따른 혼수 장만이나 비용 등의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2024.1.1.이후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받은 금액 중1억원을 공제(증여세 0원)해주는 제도입니다.즉, 신혼부부들은 최근 10년 이내에 증여받은 금액이 없다면, 결혼하거나 출산하면서 양가 (조)부모로부터 한 번만 합계 3억원*을 증여받을 수 있다고 보는데, 국세상담센터의 세법상담정보를 토대로 세부적용사항을 정리했습니다.* (혼인출산공제 1억원 + 10년간 증여공제 5천만원) × 2(양가부모)1. 공제요건 및 공제액다음 요건 중 하나에 해당하면...
koeui.tistory.com image 증여세 과세대상, 공제액, 증여세율, 계산구조 및 방법
증여는 민법상(관련규정 제554~562조) 당사자 일방(증여자)이 재산을 무상으로상대방에게 준다는 의사를 표시하고,상대방(수증자)이 이를 승낙함으로써성립하는 계약입니다.여기서는 상속세 및 증여세법(주요규정 제3장)에 따른 증여세의 개략적인과세대상이나 공제액, 증여세율 등에 따른 계산식과 적용방법을 큰 흐름으로 살펴보겠습니다.1. 증여세 과세대상증여세 과세대상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제4조에 보면 무상으로 이전받은 재산또는 이익 등으로 규정하고 있는데국세상담센터의 질의답변(Q&A)에서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있습니다(사실혼포함 재산분할로 ...
koeui.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