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고1 학생이고 늦어도 올해 12월에 N2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번도 일본어 공부를 해본적은 없지만 초등학교부터 각종 일본 애니나 라디오를 접해서 회화는 간단히할 수 있고 단어는 의미 자체는 알고 있어요 다만 한자나 쓰기, 뉴스 표현 등은 전혀 모르는 상태입니다1. 책은 n2만으로도 되는지2. 12월 셤을 목표로 시간이 충분할지3. JLPT에 관한 꿀팁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 한번도 일본어 공부를 해 본 적은 없다 "
기본적인 배경지식이 있는데 내가 왜 " 기초 교재 " 를 통해서 공부해야하느냐?
본인이 알고 계시는 부분이 " 정확한 지식 " 이냐?
" 기본기 " 부터 확립을 잘 시켜놓으셔야 이 뒤에 나오는 " 심화 " 를 소화하실 수 있기 때문에,
기본기부터 확실하게 잡고 가라고 많은 분들이 " 입을 모아 " 그렇게 얘기하는 것이구요.
괜히 JLPT가 " 5가지 " 단계로 나뉘어져 있는 것 또한 아닙니다.
지금 레벨은 아니고 좀 더 상위 레벨 가셔서 하신다거나,
" 유학 " 을 목표로 하는 분이 아니시라면,
일단은 뭐가 되었든 " 기본기 확립 " 부터가 우선입니다.
JLPT로 넘어가서 공부할 때 나름 순조롭게 진도를 뺄 수 있거든요.
" 기본적인 배경지식이 탑재 " 되어 있는 상태라면,
당연히 여기서 아는 단어가 많으면 일반적으로 걸리는 기간보다 " 덜 걸리실 수 " 있겠죠?
당연히 이게 마음 한 구석에 있으니 걸리겠지요.
나중 가셔서 이걸 다시 잡아보겠다고 하면 이미 늦었습니다.
이런 후회를 하지 않으시려면 스타트부터 제대로 된 스타트로 가시되,
" 장기적인 안목 " + " 꾸준한 페이스 " + " 복습 "
이라는 3박자가 고루 갖춰줘야 높은 급수 가셔도 고꾸라지지 않습니다.
우선은 본인이 정말 " 제대로 된 " 일본어 공부를 하실거고,
" 현실적 " 인 접근에 의거한 답이 되겠지요?
N2까지는 " 1년 반 전후 " 로 잡습니다.
올 12월은 최대 N4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되십니다.
3. JLPT에 관한 꿀팁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공부하는데 있어 " 꿀팁 " 이라는 건 없습니다.
힘들게 오랜 시간 걸려서 겨우 터득한 " 노하우 " 를,
누가 고생을 덜 하고 그냥 이런 거 주워 먹으려고 하는 사람한테 알려주겠습니까?
여기 계신 분들 공부 이력만 합하면 진짜 어마어마합니다.
정말 오랜 기간 공들여서 현지에서 생활하시고 공부하시면서 얻은 노하우를
이런 " 노하우 " 를 얻으시려면, 학원이나 전문가한테 배우는 편이 노하우 터득으로 이어지겠구요.
제가 위에서 말씀드렸던 " 3박자 " 가 고루 갖춰져야 합니다.
JLPT를 취득하면 (상위 급수) 회화나 작문은 " 자연스럽게 실력이 상승 " 한다 라는 점인데,
회화와 작문까지 챙겨가시려면 다양한 루트를 활용해서 깊이 공부하셔야 됩니다.
" 회화, 작문 " 은 혼자서 공부하는데에는 당연히 많은 제약이 따릅니다.
작문 또한 " 첨삭 상대 " 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 네이티브 " (제대로 교육을 받은) 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냥 " 장기적인 안목 " 으로 가시는게 롱런할 수 있는 비결이라고 생각되네요.
이걸 어떻게든 안 까먹으려고 아둥바둥 발버둥치려고 해서 어떻게든 기억에 남게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기억력이 좋은 사람이 단어를 잘 외우는 건 물론이고,
한자 또한 모양을 완벽하게 외우는 걸 잘 하면 당연히 취미로 공부하셔도 한자 쓰는 부분까지 되어계시겠죠?
한자는 워낙 진입 장벽이 높다보니 어려워들 하시는게 어찌보면 " 당연 " 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어 같은 경우는 정말 " 하루 할당량 " 정하셔서,
몸에서 " 질린다 " 는 신호를 보낼 때 까지,
본인께서 공부하시다보면 이번 시험은 시기적으로는 안 맞겠다...
이런 것도 잘 설정을 하셔야 합격 가능성이 높아지겠죠?
무턱대고 시험이 다가온다고 시험 접수부터 하는게 아니라,
냉정하게 자기 진도 봤을 때 그거 가지고 판단을 하셔야 된다는 것입니다.
혹여나 언어 센스나 재능이 있으시다면 " 덜 " 걸리실수도 있겠죠~? ^^
기간 설정보다는 본인이 즐기면서 라이트하게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시면서 가시는 편이 낫지 않을까 싶네요.
' 첫 걸음 ' 이라는 타이틀이 붙어있는 기초 교재들 둘러보시고,
" 마음에 드시는 교재 " 고르셔서 공부하시면 되십니다.
(1) 기초 교재 (첫 걸음이라는 타이틀이 붙어있는 교재)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셔서 접근하시는 편이 현명하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