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와 감독의 근로소득의 차이 해외에서는 예를 들어 해리포터를 쓴 조앤.롤링이 5조원의 수익을 올린다면 스티븐
작가와 감독의 근로소득의 차이 해외에서는 예를 들어 해리포터를 쓴 조앤.롤링이 5조원의 수익을 올린다면 스티븐
해외에서는 예를 들어 해리포터를 쓴 조앤.롤링이 5조원의 수익을 올린다면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은 15조원의 수익을 번다고 합니다해외의 경우를 한국에 적용해도 비슷한가요?소설가가 그 해에 1억원의 수익을 번다면재능있는 영화감독은 5억원의 수익을 버는 구조인가요?

손익분기점을 넘기면 수익에서 45%를 영화관이 가져갑니다.
나중에 판권에 대해선 또 투자사가 끼어들어서 가져가기도 합니다.
쉽게 말해 한국에선 관객이 많이 들면 들수록 손해가 커지는 것처럼 느껴지는 이상한 시장구조입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넷플릭스로 가버리는 영화가 생기고
개봉한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넷플로 올려버리기도 합니다.
류승룡, 이하늬, 진선규, 이동휘 주연에 극한직업으로 대박쳤던 이병헌 감독 보세요.
극한직업 직후 멜로가 체질 연출 시작했습니다.
대박나는 작품이 한 두개 있으면 승승장구 해야하는데 그게 안되는 거고
드라마에서는 가능하니 드라마, 시리즈물로 몰리는 겁니다.
특징적인게 오래전에 호흡을 맞춰서 대박 작품을 냈던
공유, 김고은, 이동욱 주연에 도깨비에서 대박냈떤 김은숙 작가와 이응복 감독은
자신들의 이름만으로도 하나의 커리어가 되서 다음 작품들도 중박 이상은 치고 있어요
김은숙 작가는 도깨비 전에 태양의 후예, 신사의 품격, 상속자들, 시크릿 가든 도 있었고
도깨비 후로 미스터 션샤인, 더킹: 영원의 군주에 이어 더 글로리 로 또 대박을 칩니다.
이 중에서 이응복 감독이랑 같이 한 작품이 태양의 후예, 도깨비, 미스터 션샤인 이었습니다.
드라마나 시리즈가 새로 나오면 작가와 연출자 이름을 찾아보는데
거의 모르는 이름입니다. 이 말은 데뷔하는 작가나 감독이 신인인 경우가 많고
영화로 데뷔하지 않는 이유는 위에 말한대로 수입구조도 복잡하고
결과적으론 돈도 얼마 안된다는 결론입니다. 대형 메이저 영화관들의 횡포가 너무 큰겁니다.